이 번역 페이지는 최신 내용을 담고 있지 않습니다. 최신 내용을 영문으로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interpolate
상태 사이의 보간
설명
예제
디폴트 속성을 사용하여 SE(2) 상태공간을 생성합니다.
space = stateSpaceSE2
space = stateSpaceSE2 with properties: Name: 'SE2' StateBounds: [3×2 double] NumStateVariables: 3 WeightXY: 1 WeightTheta: 0.1000
2차원 공간에서 한 쌍의 상태를 생성합니다.
state1 = [2 10 -pi]; state2 = [0 -2.5 -pi/4];
두 상태 사이의 중간을 보간합니다.
state = interpolate(space,state1,state2,0.5)
state = 1×3
1.0000 3.7500 -1.9635
고정 간격으로 여러 점을 보간합니다.
states = interpolate(space,state1,state2,0:0.02:1)
states = 51×3
2.0000 10.0000 -3.1416
1.9600 9.7500 -3.0945
1.9200 9.5000 -3.0473
1.8800 9.2500 -3.0002
1.8400 9.0000 -2.9531
1.8000 8.7500 -2.9060
1.7600 8.5000 -2.8588
1.7200 8.2500 -2.8117
1.6800 8.0000 -2.7646
1.6400 7.7500 -2.7175
1.6000 7.5000 -2.6704
1.5600 7.2500 -2.6232
1.5200 7.0000 -2.5761
1.4800 6.7500 -2.5290
1.4400 6.5000 -2.4819
⋮
디폴트 속성을 사용하여 SE(3) 상태공간을 생성합니다.
space = stateSpaceSE3
space = stateSpaceSE3 with properties: Name: 'SE3' StateBounds: [7×2 double] NumStateVariables: 7 WeightXYZ: 1 WeightQuaternion: 0.1000
3차원 공간에서 한 쌍의 상태를 생성합니다.
state1 = [2 10 3 0.2 0 0 0.8]; state2 = [0 -2.5 4 0.7 0.3 0 0];
두 상태 사이의 중간을 보간합니다.
state = interpolate(space,state1,state2,0.5)
state = 1×7
1.0000 3.7500 3.5000 0.7428 0.2519 0 0.6203
고정 간격으로 여러 점을 보간합니다.
states = interpolate(space,state1,state2,0:0.02:1)
states = 51×7
2.0000 10.0000 3.0000 0.2425 0 0 0.9701
1.9600 9.7500 3.0200 0.2663 0.0109 0 0.9638
1.9200 9.5000 3.0400 0.2899 0.0217 0 0.9568
1.8800 9.2500 3.0600 0.3133 0.0326 0 0.9491
1.8400 9.0000 3.0800 0.3365 0.0434 0 0.9407
1.8000 8.7500 3.1000 0.3594 0.0542 0 0.9316
1.7600 8.5000 3.1200 0.3821 0.0650 0 0.9218
1.7200 8.2500 3.1400 0.4045 0.0757 0 0.9114
1.6800 8.0000 3.1600 0.4266 0.0864 0 0.9003
1.6400 7.7500 3.1800 0.4484 0.0969 0 0.8886
1.6000 7.5000 3.2000 0.4698 0.1075 0 0.8762
1.5600 7.2500 3.2200 0.4909 0.1179 0 0.8632
1.5200 7.0000 3.2400 0.5117 0.1283 0 0.8495
1.4800 6.7500 3.2600 0.5321 0.1385 0 0.8353
1.4400 6.5000 3.2800 0.5521 0.1487 0 0.8204
⋮
입력 인수
state space 객체로, stateSpaceSE2
객체 또는 stateSpaceSE3
객체, stateSpaceDubins
객체 또는 stateSpaceReedsShepp
객체로 지정됩니다.
보간을 위한 시작 상태로, 실수 값 요소를 3개 또는 7개 가진 벡터로 정의됩니다.
2차원 state space 객체 stateSpaceSE2
, stateSpaceDubins
, stateSpaceReedsShepp
의 경우, 상태는 [x y theta]
형식의 벡터입니다. 이는 상태공간에서 상태의 xy 위치와 방향 각도 theta
를 정의합니다.
3차원 state space 객체 stateSpaceSE3
의 경우, 상태는 [x y z qw qx qy qz]
형식의 벡터입니다. 이는 상태공간에서 상태의 xyz 위치와 쿼터니언 방향 [qw qx qy qz]
를 정의합니다.
데이터형: single
| double
보간을 위한 종료 상태로, 실수 값 요소를 3개 또는 7개 가진 벡터로 정의됩니다.
2차원 state space 객체 stateSpaceSE2
, stateSpaceDubins
, stateSpaceReedsShepp
의 경우, 상태는 [x y theta]
형식의 벡터입니다. 이는 상태공간에서 상태의 xy 위치와 방향 각도 theta
를 정의합니다.
3차원 state space 객체 stateSpaceSE3
의 경우, 상태는 [x y z qw qx qy qz]
형식의 벡터입니다. 이는 상태공간에서 상태의 xyz 위치와 쿼터니언 방향 [qw qx qy qz]
를 정의합니다.
데이터형: single
| double
보간 비율로, 범위 [0, 1] 내의 스칼라로 지정되거나 범위 [0, 1] 내의 값을 n개 가진 열 벡터로 지정됩니다. n은 보간할 점의 개수입니다.
데이터형: single
| double
출력 인수
보간된 상태로, 실수 값으로 구성된 n×3 행렬 또는 n×7 행렬로 반환됩니다. n은 ratio
입력 인수에 의해 지정된 보간 점의 개수입니다.
2차원 state space 객체 stateSpaceSE2
, stateSpaceDubins
, stateSpaceReedsShepp
의 경우, 각 행은 [x y theta]
형식을 가집니다. 이는 보간된 상태의 xy 위치와 방향 각도 theta
를 정의합니다.
3차원 state space 객체 stateSpaceSE3
의 경우, 각 행은 [x y z qw qx qy qz]
형식을 가집니다. 이는 보간된 상태의 xyz 위치와 쿼터니언 방향 [qw qx qy qz]
를 정의합니다.
데이터형: single
| double
버전 내역
R2019b에 개발됨
MATLAB Command
You clicked a link that corresponds to this MATLAB command:
Run the command by entering it in the MATLAB Command Window. Web browsers do not support MATLAB commands.
웹사이트 선택
번역된 콘텐츠를 보고 지역별 이벤트와 혜택을 살펴보려면 웹사이트를 선택하십시오. 현재 계신 지역에 따라 다음 웹사이트를 권장합니다:
또한 다음 목록에서 웹사이트를 선택하실 수도 있습니다.
사이트 성능 최적화 방법
최고의 사이트 성능을 위해 중국 사이트(중국어 또는 영어)를 선택하십시오. 현재 계신 지역에서는 다른 국가의 MathWorks 사이트 방문이 최적화되지 않았습니다.
미주
- América Latina (Español)
- Canada (English)
- United States (English)
유럽
- Belgium (English)
- Denmark (English)
- Deutschland (Deutsch)
- España (Español)
- Finland (English)
- France (Français)
- Ireland (English)
- Italia (Italiano)
- Luxembourg (English)
- Netherlands (English)
- Norway (English)
- Österreich (Deutsch)
- Portugal (English)
- Sweden (English)
- Switzerland
- United Kingdom (Engli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