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속도계의 6개 보정 방향에서의 측정값으로, N×3 행렬로 지정됩니다. 여기서 N은 총 측정값 개수입니다. 이 행렬의 각 행은 가속도계 보정 방향에 설명된 가속도계의 6개 보정 방향 각각에서 측정된 측정값입니다. 최상의 결과를 얻으려면 행렬이 모든 6개 방향에 대해 같은 개수의 측정값을 가져야 합니다.
함수는 기본적으로 D의 데이터를 해석할 때 9.81m/s2과 1 중에서 데이터의 노름 평균에 더 가까운 값을 지구 중력 상수 g의 값으로 가정합니다.
데이터형: single | double
가속도계의 x-up 방향에서의 측정값으로, N1×3 행렬로 지정됩니다. N1은 총 x-up 측정값 개수입니다. 행렬의 각 행이 하나의 가속도계 측정값입니다. x-up 방향의 정의는 가속도계 보정 방향 섹션을 참조하십시오.
데이터형: single | double
가속도계의 x-down 방향에서의 측정값으로, N2×3 행렬로 지정됩니다. N2는 총 x-down 측정값 개수입니다. 행렬의 각 행이 하나의 가속도계 측정값입니다. x-down 방향의 정의는 가속도계 보정 방향 섹션을 참조하십시오.
데이터형: single | double
가속도계의 y-up 방향에서의 측정값으로, N3×3 행렬로 지정됩니다. N3은 총 y-up 측정값 개수입니다. 행렬의 각 행이 하나의 가속도계 측정값입니다. y-up 방향의 정의는 가속도계 보정 방향 섹션을 참조하십시오.
데이터형: single | double
가속도계의 y-down 방향에서의 측정값으로, N4×3 행렬로 지정됩니다. N4는 총 y-down 측정값 개수입니다. 행렬의 각 행이 하나의 가속도계 측정값입니다. y-down 방향의 정의는 가속도계 보정 방향 섹션을 참조하십시오.
데이터형: single | double
가속도계의 z-up 방향에서의 측정값으로, N5×3 행렬로 지정됩니다. N5는 총 z-up 측정값 개수입니다. 행렬의 각 행이 하나의 가속도계 측정값입니다. z-up 방향의 정의는 가속도계 보정 방향 섹션을 참조하십시오.
데이터형: single | double
가속도계의 z-down 방향에서의 측정값으로, N6×3 행렬로 지정됩니다. N6은 총 z-down 측정값 개수입니다. 행렬의 각 행이 하나의 가속도계 측정값입니다. z-down 방향의 정의는 가속도계 보정 방향 섹션을 참조하십시오.
데이터형: single | double
지구 중력 상수로, 양의 스칼라로 지정됩니다 이 인수를 지정하지 않으면 함수는 9.81m/s2과 1 중에서 D에 있는 데이터의 노름 평균에 더 가까운 값을 지구 중력 상수 g로 가정합니다.
가속도계 보정을 위한 측정 데이터를 구하려면 가속도계 측정 프레임(X-Y-Z)의 방향을 이 다이어그램에 표시된 6개 방향 중 하나와 맞춥니다. 예를 들어 x-up 측정값을 구하려면 첫 번째 그림처럼 가속도계 측정 프레임의 양의 X 방향을 중력의 반대 방향으로 정렬합니다.
가속도계에 보정 오류가 없고 그림과 같이 측정 프레임이 완벽하게 정렬되면 다음 표에 나와 있는 이상적인 측정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방향
aX
aY
aZ
X-Up
-g
0
0
X-Down
+g
0
0
Y-Up
0
-g
0
Y-Down
0
+g
0
Z-Up
0
0
-g
Z-Down
0
0
+g
표에서 aX, aY, aZ는 각각 X 가속 성분, Y 가속 성분, Z 가속 성분입니다. g는 로컬 지구 중력 상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