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cal형 배열 결합하기
이 예제에서는 categorical형 배열을 결합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categorical형 배열 생성하기
A 교실의 학생 25명이 점심 시간에 선호하는 음료가 포함된 categorical형 배열을 생성합니다.
rng("default") A = randi(3,[25,1]); A = categorical(A,1:3,["milk" "water" "juice"])
A = 25×1 categorical
juice
juice
milk
juice
water
milk
milk
water
juice
juice
milk
juice
juice
water
juice
milk
water
juice
juice
juice
water
milk
juice
juice
juice
categorical형 배열을 요약합니다.
summary(A)
A: 25×1 categorical
milk 6
water 5
juice 14
<undefined> 0
B 교실의 학생 28명이 선호하는 음료가 포함된 또 다른 categorical형 배열을 생성합니다.
B = randi(3,[28,1]); B = categorical(B,1:3,["milk" "water" "juice"])
B = 28×1 categorical
juice
juice
water
water
milk
juice
milk
milk
milk
milk
juice
juice
milk
juice
milk
water
water
juice
juice
milk
water
water
water
juice
juice
milk
juice
water
categorical형 배열을 요약합니다.
summary(B)
B: 28×1 categorical
milk 9
water 8
juice 11
<undefined> 0
Categorical형 배열 결합
A 교실과 B 교실의 데이터를 단일 categorical형 배열 Group1에 결합합니다.
Group1 = [A;B]
Group1 = 53×1 categorical
juice
juice
milk
juice
water
milk
milk
water
juice
juice
milk
juice
juice
water
juice
milk
water
juice
juice
juice
water
milk
juice
juice
juice
juice
juice
water
water
milk
⋮
categorical형 배열 Group1을 요약합니다.
summary(Group1)
Group1: 53×1 categorical
milk 15
water 13
juice 25
<undefined> 0
다른 범주를 갖는 categorical형 배열 생성
추가 음료 옵션으로 탄산음료가 제공된 50명 학생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categorical형 배열 Group2를 생성합니다.
Group2 = randi(4,[50,1]); Group2 = categorical(Group2,1:4,["juice" "milk" "soda" "water"])
Group2 = 50×1 categorical
juice
juice
milk
water
milk
soda
juice
water
milk
soda
soda
water
water
soda
juice
juice
milk
water
milk
water
juice
water
milk
juice
milk
soda
milk
milk
water
soda
⋮
categorical형 배열을 요약합니다.
summary(Group2)
Group2: 50×1 categorical
juice 12
milk 14
soda 10
water 14
<undefined> 0
다른 범주를 갖는 배열 결합
Group1 및 Group2의 데이터를 결합합니다.
students = [Group1;Group2]
students = 103×1 categorical
juice
juice
milk
juice
water
milk
milk
water
juice
juice
milk
juice
juice
water
juice
milk
water
juice
juice
juice
water
milk
juice
juice
juice
juice
juice
water
water
milk
⋮
결과로 생성된 categorical형 배열을 요약합니다. 이 결합은 첫 번째 입력값의 범주 목록의 끝에 두 번째 입력값에만 있는 범주인 soda를 추가합니다(milk, water, juice, soda).
summary(students)
students: 103×1 categorical
milk 29
water 27
juice 37
soda 10
<undefined> 0
categorical형 배열에서 범주 순서를 변경하려면 reordercats 함수를 사용합니다.
students = reordercats(students,["juice" "milk" "water" "soda"]); categories(students)
ans = 4×1 cell
{'juice'}
{'milk' }
{'water'}
{'soda' }
categorical형 배열의 합집합
Group1과 Group2의 고유한 응답을 찾으려면 union 함수를 사용합니다.
C = union(Group1,Group2)
C = 4×1 categorical
milk
water
juice
soda
union은 Group1과 Group2의 결합된 값을 반복하지 않고 반환합니다. 이 경우, C는 결합된 배열 students의 범주와 동일합니다.
이 예제에 나와 있는 모든 categorical형 배열은 비순서형입니다. 순서형 categorical형 배열을 결합하려면 해당 배열이 순서를 포함하여 동일한 범주 집합을 가져야 합니다.
참고 항목
categorical | categories | summary | union | cat | horzcat | vertc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