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콘텐츠

eye

고정소수점 속성을 갖는 단위 행렬 만들기

설명

I = eye('like',p)는 고정소수점 속성과 실수/복소수 여부가 프로토타입 인수 p와 동일한 스칼라 1을 반환합니다. 출력값 Ip와 동일한 numerictype 속성 및 fimath 속성을 가집니다.

I = eye(n,'like',p)는 주대각선에 1이 있고 다른 곳에 0이 있는 p와 같은 n×n 단위 행렬을 반환합니다.

예제

I = eye(n,m,'like',p)p와 같은 n×m 단위 행렬을 반환합니다.

예제

I = eye(sz,'like',p)p와 같은 배열을 반환합니다. 여기서 크기 벡터 szsize(I)를 정의합니다.

예제

모두 축소

프로토타입 fi 객체 p를 만듭니다.

p = fi([],1,16,14);

p와 같은 고정소수점 속성을 갖는 3×4 단위 행렬을 만듭니다.

I = eye(3,4,'like',p)
I = 
     1     0     0     0
     0     1     0     0
     0     0     1     0

          DataTypeMode: Fixed-point: binary point scaling
            Signedness: Signed
            WordLength: 16
        FractionLength: 14

워드 길이가 16이고 소수부 길이가 15이며 OverflowActionWrap으로 설정된 부호 있는 fi 객체를 만듭니다.

format long
p = fi([],1,16,15,'OverflowAction','Wrap');

p와 같은 numerictype 속성을 갖는 2×2 단위 행렬을 만듭니다.

X = eye(2,'like',p)
X = 
   0.999969482421875                   0
                   0   0.999969482421875

          DataTypeMode: Fixed-point: binary point scaling
            Signedness: Signed
            WordLength: 16
        FractionLength: 15

        RoundingMethod: Nearest
        OverflowAction: Wrap
           ProductMode: FullPrecision
               SumMode: FullPrecision

1은 p의 데이터형으로 표현할 수 없으므로 값이 포화됩니다. 출력 fi 객체 Xp와 동일한 numerictype 속성 및 fimath 속성을 가집니다.

입력 인수

모두 축소

I의 첫 번째 차원 크기로, 정수 값으로 지정됩니다.

  • n이 유일한 정수 입력 인수인 경우 In×n 정사각 단위 행렬입니다.

  • n0이면 I는 빈 행렬이 됩니다.

  • n이 음수이면 0으로 처리됩니다.

데이터형: single | double | int8 | int16 | int32 | int64 | uint8 | uint16 | uint32 | uint64

I의 두 번째 차원 크기로, 정수 값으로 지정됩니다.

  • m0이면 I는 빈 행렬이 됩니다.

  • m이 음수이면 0으로 처리됩니다.

데이터형: single | double | int8 | int16 | int32 | int64 | uint8 | uint16 | uint32 | uint64

I의 크기로, 2개 이하의 정수 값으로 구성된 행 벡터로 지정됩니다.

  • sz의 요소 중에 0이 있으면 I는 빈 행렬이 됩니다.

  • sz의 요소 중에 음수가 있으면 요소는 0으로 처리됩니다.

데이터형: single | double | int8 | int16 | int32 | int64 | uint8 | uint16 | uint32 | uint64

프로토타입으로, fi 객체 또는 숫자형 변수로 지정됩니다.

값 1이 p의 숫자형을 오버플로하는 경우 연결된 fimath의 지정된 OverflowAction 속성에 관계없이 출력값이 포화됩니다. 이후에 출력값에 수행되는 모든 연산은 연결된 fimath의 규칙을 따릅니다.

데이터형: fi | single | double | int8 | int16 | int32 | int64 | uint8 | uint16 | uint32 | uint64

b = cast(a,'like',p) 구문을 사용하여 데이터형 지정을 알고리즘 코드와 분리하면 다음이 가능합니다.

  • 여러 다른 데이터형에 대해 알고리즘 코드를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형 사양과 여러 데이터형에 대한 switch 문을 사용하면 알고리즘이 지저분해지지 않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 알고리즘 코드의 가독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고정소수점 데이터형과 부동소수점 데이터형 간에 전환하여 기준을 비교할 수 있습니다.

  • 알고리즘 코드를 변경하지 않고도 여러 변형의 고정소수점 설정 간에 전환할 수 있습니다.

버전 내역

R2015a에 개발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