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예제에서는 bspline 함수를 사용하여 위수가 4인 B-스플라인을 만드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매듭 시퀀스를 만들고 B-스플라인 플로팅하기
아래 Figure는 위수가 4인 B-스플라인과 이 B-스플라인을 구성하는 4개의 3차 다항식을 보여줍니다.
이 Figure를 MATLAB®에서 재현하려면 먼저 매듭 시퀀스를 만듭니다. 매듭 시퀀스는 감소하지 않아야 합니다.
t = [0 1.5 2.3 4 5];
매듭을 5개 정의했으므로 B-스플라인은 위수가 4인 B-스플라인이 됩니다.
그런 다음 bspline 함수를 사용하여 매듭 시퀀스 t를 갖는 B-스플라인뿐 아니라 그 다항식 조각을 플로팅합니다.
bspline(t)
이 B-스플라인은 4개의 다항식 조각으로 구성되는데, 각각 플롯에서 빨간색, 녹색, 자주색, 검은색 3차 곡선으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세로선은 앞에서 정의한 매듭 t를 나타냅니다.
t(i)≤····≤ t(i+k)인 매듭을 갖는 B-스플라인은 구간 (t(i)..t(i+k))에서 양수이며 이 구간 밖에서 0입니다. 지점 t(i),...,t(i+k)에서 절점을 갖는, 위수가 k인 조각별 다항식입니다. 이러한 매듭은 만날 수 있으며, 이 경우 중복도가 두 다항식 조각이 만나는 지점에서의 매끄러움 정도를 결정합니다.
새 서브플롯에서 또 다른 B-스플라인 플로팅하기
두 번째 매듭 시퀀스를 만듭니다.
t2=[2 3 4 5];
동일한 Figure의 다른 서브플롯에 매듭 시퀀스 t2를 갖는 B-스플라인을 플로팅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