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c to dq0, dq0 to abc
3상(abc) 신호에서 dq0 회전자 기준 프레임으로의 변환 또는 역변환 수행
라이브러리:
Simscape /
Electrical /
Specialized Power Systems /
Control
설명
abc to dq0 블록은 Park 변환을 사용하여 3상(abc) 신호를 dq0 회전자 기준 프레임으로 변환합니다. 회전자 프레임의 각위치는 입력 wt(단위: 라디안)로 주어집니다.
dq0 to abc 블록은 Park 역변환을 사용하여 dq0 회전자 기준 프레임을 3상(abc) 신호로 변환합니다. 회전자 프레임의 각위치는 입력 wt(단위: 라디안)로 주어집니다.
wt=0에서 회전자 프레임 정렬이 A상 축보다 90도 뒤질 때 크기=1 및 위상=0도인 정상 성분 신호는 d=1, q=0의 dq 값을 생성합니다.

이 블록은 Park 변환에 사용되는 두 가지 규칙을 지원합니다.
회전자 프레임이 t = 0에서 A상 축에 정렬될 때, 즉 t = 0일 때 d축은 a축에 정렬됩니다. 이러한 유형의 Park 변환을 코사인 기반 Park 변환이라고도 합니다.
회전자 프레임이 A상 축보다 90도 뒤져 정렬될 때, 즉 t = 0일 때 q축은 a축과 정렬됩니다. 이러한 유형의 Park 변환을 사인 기반 Park 변환이라고도 합니다. 3상 동기기와 3상 비동기기가 있는 Simscape™ Electrical™ Specialized Power Systems 모델에서 이 변환을 사용하십시오.
고정 기준 프레임에서, abc에서 αβ0으로의 Clarke 변환을 수행하여 abc 신호로부터 dq0 성분을 이끌어 냅니다. 그런 다음 회전자 기준 프레임에서, αβ0에서 dq0으로의 변환을 수행합니다. 즉 공간 벡터 Us = uα + j· uβ에서 −(ω.t) 회전을 수행합니다.
abc에서 dq0으로의 변환은 t = 0에서의 dq 프레임 정렬에 따라 달라집니다. 회전자 프레임의 위치는 ω.t로 주어지고, 여기서 ω는 dq 프레임 회전 속도를 나타냅니다.
회전자 프레임이 A상 축에 정렬될 때 다음 관계를 얻습니다.
역변환은 다음과 같이 주어집니다.
회전자 프레임이 A상 축보다 90도 뒤져서 정렬될 때 다음 관계를 얻습니다.
역변환은 다음과 같이 주어집니다.
예제
포트
입력
출력
파라미터
확장 기능
버전 내역
R2013a에 개발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