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ior PMSM
정현파 역기전력을 갖는 3상 매립형 영구 자석 동기 모터
라이브러리:
Powertrain Blockset /
Propulsion /
Electric Motors and Inverters
Motor Control Blockset /
Electrical Systems /
Motors
설명
Interior PMSM 블록은 정현파 역기전력을 갖는 3상 매립형 영구 자석 동기 모터(PMSM)를 구현합니다. 이 블록은 3상 입력 전압을 사용해 개별 상 전류를 조정하여 모터 토크 또는 속도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이 블록은 시뮬레이션 유형 파라미터를 연속으로 설정하여 시뮬레이션 동안 연속 샘플 시간을 사용합니다. 고정 스텝 배정밀도 및 단정밀도 타깃에 대한 코드를 생성하려면 파라미터를 이산으로 설정해 보십시오. 그런 다음 샘플 시간(Ts) 파라미터를 지정합니다.
파라미터 탭에서 역기전력 상수(Ke)를 선택하면 블록은 다음 방정식을 구현하여 영구 쇄교 자속 상수를 계산합니다.
모터 구조
이 그림은 모터에 단일 극쌍이 있는 모터 구조를 보여줍니다.

영구 자석으로 인한 모터 자기장은 모터 각도에 따른 플럭스의 정현파 변화율을 생성합니다.
축 규칙에 의하면 모터 각도 θr이 0일 때 a상과 영구 자석 플럭스가 정렬됩니다.
3상 정현파 모델 전기 시스템
이 블록은 모터 플럭스 기준 프레임(dq 프레임)으로 표현된 다음 방정식을 구현합니다. 모터 기준 프레임의 모든 수량은 고정자를 기준으로 합니다.
Lq 및 Ld 인덕턴스는 모터의 돌극성(saliency)으로 인한 상 인덕턴스와 모터 위치 간의 관계를 나타냅니다.
방정식에 사용되는 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Lq, Ld | q축 및 d축 인덕턴스(H) |
R | 고정자 권선의 저항(ohm) |
iq, id | q축 및 d축 전류(A) |
vq, vd | q축 및 d축 전압(V) |
ωm | 모터의 기계적 각속도(rad/s) |
ωe | 모터의 전기적 각속도(rad/s) |
λpm | 영구 쇄교 자속 상수(Wb) |
Ke | 역기전력(EMF)(Vpk_LL/krpm, 여기서 Vpk_LL은 피크 전압 선간 측정값임) |
P | 극쌍 개수 |
Te | 전자기 토크(Nm) |
Θe | 전기각(rad) |
기계 시스템
모터 각속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방정식에 사용되는 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J | 모터와 부하의 결합된 관성(kgm^2) |
F | 모터와 부하의 결합된 점성 마찰(N·m/(rad/s)) |
θm | 모터의 기계적 각위치(rad) |
Tm | 모터 샤프트 토크(Nm) |
Te | 전자기 토크(Nm) |
Tf | 모터 샤프트 정적 마찰 토크(Nm) |
ωm | 모터의 기계적 각속도(rad/s) |
파워 회계
파워 회계(power accounting)를 위해 블록은 다음 방정식을 구현합니다.
| 버스 신호 | 설명 | 변수 | 방정식 | ||
|---|---|---|---|---|---|
|
|
| 기계적 파워 | Pmot | |
PwrBus | 전력 | Pbus | |||
|
| PwrElecLoss | 저항성 파워 손실 | Pelec | ||
PwrMechLoss | 기계적 파워 손실 | Pmech | 기계적 입력 구성이 기계적 입력 구성이 | ||
|
| PwrMtrStored | 저장된 모터 파워 | Pstr | ||
방정식에 사용되는 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Rs | 고정자 저항(ohm) |
ia, ib, ic | 고정자 a상, b상, c상 전류(A) |
isq, isd | 고정자 q축 및 d축 전류(A) |
van, vbn, vcn | 고정자 a상, b상, c상 전압(V) |
ωm | 회전자의 기계적 각속도(rad/s) |
F | 모터와 부하의 결합된 점성 감쇠(N·m/(rad/s)) |
Te | 전자기 토크(Nm) |
Tf | 모터와 부하의 결합된 마찰 토크(Nm) |
진폭 불변 dq 변환
이 블록은 다음 방정식을 사용하여 dq와 3상의 진폭들을 동일하게 하는 진폭 불변 dq 변환을 구현합니다.
방정식에 사용되는 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Θda | 회전자 a축을 기준으로 한 dq 고정자의 전기각(rad) |
vsq, vsd | 고정자 q축 및 d축 전압(V) |
isq, isd | 고정자 q축 및 d축 전류(A) |
| va, vb, vc | 고정자 전압 a상, b상, c상(V) |
| ia, ib, ic | 고정자 전류 a상, b상, c상(A) |
포트
입력
출력
파라미터
참고 문헌
[1] Kundur, P. Power System Stability and Control. New York, NY: McGraw Hill, 1993.
[2] Anderson, P. M. Analysis of Faulted Power Systems. Hoboken, NJ: Wiley-IEEE Press, 1995.
확장 기능
버전 내역
R2017a에 개발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