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콘텐츠

fi 속성

fi 객체의 데이터 속성

fi 객체는 세 가지 유형의 속성, 즉 데이터 속성, fimath 속성 및 numerictype 속성을 갖습니다. 점 표기법을 사용하여 fi 객체의 데이터에 액세스할 때 데이터 속성을 사용합니다. fi 객체의 데이터 속성은 항상 쓰기 가능합니다.

데이터 속성

모두 확장

fi 객체의 저장된 정수 값의 이진수 표현으로, 문자형 벡터로 지정됩니다.

데이터형: char

fi 객체의 실제 값으로, double로 지정됩니다.

데이터형: char

fi 객체의 저장된 정수 값의 10진수 표현으로, 문자형 벡터로 지정됩니다.

데이터형: char

fi 객체의 실제 값으로, double로 지정됩니다.

데이터형: char

fi 객체의 저장된 정수 값의 16진수 표현으로, 문자형 벡터로 지정됩니다.

데이터형: char

fi 객체의 저장된 정수 값으로, 내장된 MATLAB® 정수 데이터형으로 지정됩니다.

fi 객체에 부호가 있는 경우, 저장된 정수의 데이터형은 int8, int16, int32, int64 또는 double 중 하나입니다. fi 객체에 부호가 없는 경우, 저장된 정수의 데이터형은 uint8, uint16, uint32, uint64 또는 double 중 하나입니다.

저장된 정수의 데이터형의 크기는 fi 객체의 워드 길이에 따라 다릅니다.

  • int8 또는 uint8 - 1에서 8까지의 워드 길이를 갖는 fi 객체

  • int16 또는 uint16 - 9에서 16까지의 워드 길이를 갖는 fi 객체

  • int32 또는 uint32 - 17에서 32까지의 워드 길이를 갖는 fi 객체

  • int64 또는 uint64 - 33에서 64까지의 워드 길이를 갖는 fi 객체

  • double - 64비트를 초과하는 워드 길이를 갖는 fi 객체

데이터형: double | int8 | int16 | int32 | int64 | uint8 | uint16 | uint32 | uint64

fi 객체의 저장된 정수 값의 8진수 표현으로, 문자형 벡터로 지정됩니다.

데이터형: char

fi 객체의 최대 정밀도 실제 값으로, 문자형 벡터로 저장됩니다.

참고

fi 생성자에서 Value 속성을 지정하면 globalfimath 설정에 관계없이 디폴트 RoundingModeOverflowAction이 사용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fi Constructor Does Not Follow globalfimath Rules 항목을 참조하십시오.

데이터형: char

버전 내역

R2006a 이전에 개발됨

참고 항목